공지사항
교통사고 어깨골절 합의금, 제대로 계산하고 받아내는 방법
안녕하세요.
16년 동안 보험소비자와 사고피해자를 위해 독립손해사정사로 일해온
(주)메디컬손해사정 대표이사·대표손해사정사 김지윤입니다.
저는 수천 건의 교통사고 및 손해사정 사건을 처리하며,
피해자분들이 정당하게 받아야 할 합의금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손해보는 경우가 너무 많다는 것을 항상 느낍니다.
특히 교통사고 어깨골절 합의금은 단순히 입원기간과 치료비만 계산한다고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합의금에는 위자료, 휴업손해, 간병비, 향후치료비, 상실수익액 등 다양한 항목이 포함되며,
각각의 항목을 정확히 이해하고 계산해야만 보험사와 협상할 때 유리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교통사고 어깨골절 합의금의 모든 항목을 상세히 설명하고,
실제 사례를 통해 구체적인 계산법까지 보여드리겠습니다.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보험사에 끌려다니지 않고 스스로 합의금에 대한 판단 기준을 세우실 수 있습니다.
1. 교통사고 어깨골절 합의금, 구성 항목
교통사고로 어깨골절을 입었을 때 산정되는 합의금은 크게 6가지 항목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위자료: 사고로 인한 정신적 고통을 보상
2. 휴업손해: 입원 또는 통원으로 인한 수입 손실 보상
3. 간병비: 상해 정도에 따라 간병인이 필요할 경우 지급
4. 그 밖의 손해배상금: 병원 식사, 통원치료 등 소액 보상
5. 향후치료비: 합의 후 발생할 추가 치료 비용
6.상실수익액: 사고로 인한 노동능력 상실로 장기간 소득 감소를 보상
이 중 앞의 다섯 가지 항목은 계산 방법이 비교적 명확합니다.
하지만 상실수익액은 합의금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보험사와 가장 분쟁이 많은 항목이므로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항목별 합의금 산정 방법
2-1. 위자료
위자료는 사고로 인한 정신적 피해를 금액으로 보상하는 항목입니다.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시행령에 따라 상해 등급별로 금액이 정해져 있으며,
■ 1급: 200만 원
■ 12급~14급: 15만 원
예를 들어, 어깨관절 골절 및 탈구로 수술을 받은 경우는 3급 13항에 해당되어 부상위자료가 약 152만 원이 됩니다.
위자료는 피해자분의 심리적 손해를 금액화한 항목으로, 객관적인 수치로 정해져 있어 큰 다툼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2-2. 휴업손해
휴업손해는 입원 또는 치료로 인해 일을 못한 기간 동안 발생한 소득 손실을 보상합니다.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휴업손해 = (월 소득 ÷ 30일) × 입원일수 × 85%
예를 들어, 월 소득 400만 원, 입원 30일이라면
400만 ÷ 30 × 30 × 0.85 ≈ 340만 원
휴업손해는 증빙자료가 중요합니다. 입원확인서, 급여명세서 등을 준비하면 보험사가 지급을 거부하기 어렵습니다.
2-3. 간병비
간병비는 상해 1~5급에 해당할 경우 지급됩니다.
■ 1~2급: 60일
■ 3~4급: 30일
■ 5급: 15일
지급 기준은 1일 일용근로자 임금으로 산정하며, 2025년 상반기 기준 1일 129,944원입니다.
예를 들어 3급 상해로 30일 입원했다면
129,944원 × 30일 ≈ 389만 원
입원 기간을 초과하더라도, 약관상 인정되는 일수만큼 지급됩니다.
2-4. 그 밖의 손해배상금
■ 병원 식사를 하지 않은 경우: 한 끼당 4,030원
■ 통원치료: 하루 8,000원
예를 들어 통원치료 30일이면
8,000원 × 30일 = 24만 원
금액은 비교적 적지만, 누락되지 않도록 반드시 계산에 포함시켜야 합니다.
2-5. 향후치료비
합의 후 발생할 추가 치료비를 추정하여 산정합니다.
■ 금속핀 제거 수술: 150~250만 원
■ 흉터 성형수술: cm당 10~20만 원
만약 향후치료비에 대해 분쟁이 있을 경우, 전문의에게 향후치료비 추정서를 발급받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핀 제거: 정형외과
■ 흉터 성형: 성형외과
향후치료비는 실제 치료비용을 반영해야 하며, 합의 후 예상금액 이상의 추가 치료비용이 발생하면 별도로 청구 가능합니다.
2-6. 상실수익액 (합의금 핵심)
상실수익액은 교통사고 어깨골절 합의금에서 가장 큰 금액을 차지하며, 계산이 복잡합니다.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상실수익액 = 월평균 소득 × 노동능력상실율 × 호프만 계수(장해기간)
■ 월평균 소득: 사고 전 현실 소득
■ 노동능력상실율: 소득 감소 정도 (%)
■ 호프만 계수: 장해기간에 따른 중간이자 공제 계수
예를 들어,
■ 월 소득 400만 원
■ 노동능력상실율 18%
■ 장해기간 1년 → 호프만계수 11.6858 → 상실수익액 약 841만 원
■ 장해기간 3년 → 호프만계수 33.4777 → 약 2,410만 원
■ 장해기간 5년 → 호프만계수 53.4545 → 약 3,848만 원
장해 기간과 노동능력상실율을 제대로 평가받는 것이 합의금 산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3. 사례를 통한 합의금 계산
이번에는 실제 사례를 통해 여섯 가지 항목을 구체적으로 계산해보겠습니다.
■ 피해자: 30대 여성, 무과실
■ 진단명: 좌측 견관절 상완골 근위부 골절
■ 치료: 금속내고정수술, 입원 40일, 통원 30일
■ 후유장해: 어깨관절 18%, 한시 3년
■ 향후치료비: 핀제거 200만 원 + 흉터 성형 150만 원
항목별 합의금
-
위자료: 1,520,000원
-
휴업손해: 4,530,000원
-
간병비: 3,890,000원
-
그 밖의 손해배상금: 240,000원
-
향후치료비: 3,500,000원
-
상실수익액: 24,100,000원
총합계: 37,780,000원
상실수익액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해율 평가와 장해기간 산정이 얼마나 중요한지 잘 알 수 있습니다.
4. 합의금 산정 시 주의사항
1.소득 반영
월 소득을 실제 입증할 수 있는 자료로 확인
미등록 소득이나 프리랜서 소득도 증빙 가능
2.장해 평가
상해 후 노동능력상실율 평가가 낮게 나오면 상실수익액이 줄어듭니다.
전문의 진단서, 후유장해 진단서 확보 필수
3.향후치료비 반영
금속핀 제거, 성형수술 등 필요한 비용을 모두 계산
미반영 시 합의 후 추가 청구 어려움
4.보험사 대응
상실수익액 항목은 보험사가 일부러 적게 산정하려고 할 수 있음
혼자 대응하면 부당하게 합의될 가능성이 높음
5. 전문가 도움의 필요성
교통사고 어깨골절 합의금은 복잡하고, 특히 상실수익액 항목은 일반인이 혼자 정확히 계산하기 어렵습니다.
■ 합의금이 적정한지 판단 어려움
■ 보험사와 불필요하게 다툼 발생
■ 향후 치료 및 장해 반영 누락 가능성
저는 지금까지 수천 건의 사건을 처리하며, 피해자분들이 정당한 합의금을 받을 수 있도록 전문적인 대응을 해왔습니다.
궁금하시거나 계산이 어려우신 분들은 언제든 연락 주시면 상세하게 안내해드리겠습니다.
■ 전화, 카카오톡, 폼메일 가능
■ 네이버에서 “사건사고닷컴” 검색 후 문의 가능
6. 마무리
교통사고로 어깨골절을 당하면 정신적, 경제적 손해가 동시에 발생합니다.
■ 위자료: 정신적 손해
■ 휴업손해, 간병비: 단기 경제 손실
■ 상실수익액: 장기 소득 손실
모든 항목을 정확히 산정하고, 특히 상실수익액을 제대로 평가받는 것이 합의금 결정의 핵심입니다.
이번 글을 참고하시어, 보험사에 끌려다니지 않고 정당한 합의금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궁금하시거나 도움 필요하신 분들은 언제든 연락 주세요.
저는 피해자분들의 권익을 최우선으로, 끝까지 책임지고 도와드리겠습니다.
교통사고 어깨골절 합의금 아래 네이버블로그 내용 참고해주세요.
(사진을 클릭하시면 이동합니다.)
#교통사고 #교통사고합의금 #교통사고어깨골절 #어깨골절 #교통사고후유장해 #합의금계산 #휴업손해 #간병비 #향후치료비 #상실수익액 #보험금청구 #손해사정 #자동차보험 #보험사대응 #후유장해보상 #교통사고보상 #보험전문가 #보험컨설팅 #교통사고사례 #교통사고전문 #보험상담 #보험보상 #보험청구방법 #보험분쟁 #자동차사고보상 #보험클레임 #보험금받는방법 #보험금산정 #보험금계산 #보험소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