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온라인상담실

counseling center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보험보상금을 뺏기기 싫다면?(무료상담)↓↓

공지사항

신경내분비종양 C20 암진단비, 보험금 거절당하지 않으려면 이렇게 준비하세요

카시노이드종양(유암종) D375코드는 경계성종양인가? 

 

안녕하세요,
보험소비자를 위해 16년간 일해온 독립손해사정사 김지윤입니다.
저는 현재 서울 서초구 서초동에서 (주)메디컬손해사정 대표이사이자 대표손해사정사로,
보험소비자 여러분의 권리를 지켜드리고 있습니다.

 

오늘은 신경내분비종양 C20 암진단비 관련해서 실제로 많은 분들이 겪는 보험금 분쟁 사례와,
그에 대한 정확한 대응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1. 대장내시경 검사 후 ‘신경내분비종양’ 진단을 받으셨나요?

 

요즘 건강검진을 받다 보면 대장내시경 검사를 통해 용종이 발견되어 제거하는 경우가 정말 많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그다음 단계, 바로 조직검사 결과지에서 시작됩니다.

 

조직검사 결과에 ‘신경내분비종양(Neuroendocrine Tumor, NET)’ 이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면,
이건 단순한 용종이 아닐 수 있습니다.


의학적으로 유암종(카르시노이드 종양) 이라고도 부르는데요,
이는 우리 몸의 내분비 세포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위, 소장, 대장, 직장 등 소화기관은 물론 췌장이나 폐, 흉선 등에서도 생길 수 있습니다.

 

즉, ‘신경내분비종양’은 암의 일종일 수도 있고, 경계성 종양일 수도 있는 굉장히 모호한 영역의 진단명입니다.
그래서 보험사와의 해석 차이가 생기기 딱 좋은 진단이죠.

 


 

2. 신경내분비종양, 암으로 인정받으려면 코드가 핵심입니다

 

보험금 청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바로 진단 코드(CODE) 입니다.
예를 들어, 직장에 생긴 신경내분비종양이라면


병원에서 발급된 진단서에는 보통 다음과 같은 코드가 적혀 있습니다.

· C20 : 직장의 악성 신생물 (즉, 암으로 인정되는 코드)
· D37.5 : 직장의 경계성 종양 (암과 유사하지만 명확히 악성은 아닌 상태)

 

이처럼 진단서 상의 코드가 C20인지, D37.5인지에 따라
받을 수 있는 암진단비의 금액 차이가 어마어마합니다.

 

C코드는 일반암 진단비,
D코드는 소액암 또는 경계성 종양 진단비로 분류되기 때문이죠.

 

실제 현장에서 C20 코드로 진단을 받았는데도 보험사가 암진단비를 거절하거나,
소액암으로 분류해 지급하는 사례가 아주 많습니다.

 

 


 

3. 보험사는 왜 암진단비를 거절할까?

 

보험사 입장은 간단합니다.
“코드만으로는 암 여부를 확정할 수 없다.”
이게 그들의 논리입니다.

 

보험사들은 진단서에 C코드가 있더라도,
병리과 전문의가 판독한 조직검사 결과지에서
악성 소견이 명확하지 않으면 일반암으로 인정하지 않겠다고 주장합니다.

 

즉, 임상적으로는 암처럼 보이지만, 병리학적으로 ‘암세포 침윤’이 명확하지 않으면
소액암으로 분류해버리는 겁니다.

 

· 병리과 전문의의 판독 소견서에서 “Well differentiated neuroendocrine tumor” 등의 표현이 있을 경우,
보험사는 “저등급 악성(저악성)”이라며 일반암 진단비 지급을 거부하는 사례가 있습니다.

 

이런 판정의 차이는 단순히 의학적인 문제를 넘어, 보험금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 차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4. 병리보고서가 핵심 증거입니다

 

보험금 분쟁의 승패는 병리보고서(Pathology Report) 에 달려 있습니다.
여기에는 조직의 등급, 침윤 여부, 림프절 전이 등 세부사항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 Grade(등급) : G1~G3로 표시되며, 숫자가 높을수록 악성도가 높습니다.
· Ki-67 지수 : 세포의 증식 속도를 나타내며, 20% 이상이면 암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Mitotic count(유사분열 수) : 세포 분열이 활발할수록 악성 가능성이 높습니다.

 

보험사가 병리보고서를 근거로 소액암 판정을 내렸다면,
이 수치를 재검토하고 전문의의 재감정(의료자문 반박) 을 받아야 합니다.
이 과정을 전문 손해사정사가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5. 보험사 조사 대응, 준비 없이 받으면 불리합니다

 

보험금 청구 후 보험사에서 현장 조사의료자문 요청을 할 수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 보험사가 확보한 자료가 불리하게 작용하면
암진단비가 축소되거나 거절될 수 있습니다.

 

· 보험사는 조사과정에서 주치의를 면담하거나,
병리 슬라이드를 다른 병원에 재검토 의뢰하기도 합니다.


· 이때 “악성으로 보기 어렵다”는 자문 결과가 나오면,
보험금 지급이 어렵다는 통보를 받게 됩니다.

 

따라서 보험사 조사가 들어오기 전에
전문가와 함께 자료를 점검하고, 병리보고서를 정확히 해석하는 게
무척 중요합니다.

 


 

6. 신경내분비종양 C20 암진단비, 제대로 받으려면?

 

보험사와 분쟁이 생기기 전에 아래 사항을 꼭 점검해보세요.

 

· 조직검사 결과지에서 암세포 침윤 여부가 명확히 기재되어 있는가?
· 병리보고서의 Ki-67 지수와 Grade 수치가 암 수준에 해당하는가?
· 진단서의 질병코드(C20) 가 제대로 표기되어 있는가?
· 보험사에 제출한 서류의 일관성은 유지되고 있는가?

 

이 4가지가 모두 정확하게 준비되어야 보험사도 쉽게 거절하지 못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건,
보험사가 “소액암으로 지급하겠다”고 안내했다고 해서 바로 수용하지 마세요.


손해사정 전문가가 병리자료를 다시 검토하면
일반암으로 재분류되어 수천만 원을 추가로 받을 수 있는 경우가 정말 많습니다.

 


 

7. 실제 사례로 본 암진단비 분쟁

 

실제로 제가 상담했던 한 사례를 말씀드릴게요.

건강검진 중 직장용종을 제거한 A씨는
조직검사 결과 “Well differentiated neuroendocrine tumor”라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병원에서는 C20 코드로 진단서를 발급해줬고,
A씨는 당연히 일반암 진단비를 청구했습니다.

 

하지만 보험사는 “이건 저등급 악성에 해당한다”며
소액암 진단비만 지급했습니다.

 

A씨는 납득할 수 없어 저에게 상담을 의뢰하셨고,
저희는 병리보고서를 세밀하게 분석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악성으로 볼 수 있다는 근거를 확보했습니다.


이 자료를 토대로 재청구를 진행했고,
결국 일반암 진단비 전액을 지급받을 수 있었습니다.

 

이처럼 신경내분비종양 C20 암진단비 분쟁은
단순히 코드나 진단서 한 장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의학적 해석, 병리 자료, 보험약관까지 종합적으로 검토해야만
보험금 전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8. 마무리하며 – 전문가의 검토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보험금 분쟁은 “진단명 하나 차이”로 끝나는 게 아닙니다.
그 뒤에는 보험사의 자문결과, 병리학적 판단, 약관 해석이라는
복잡한 논리가 숨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 반드시
보험 전문 손해사정사의 검토를 거친 후 청구하는 것
여러분의 권리를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저는 지난 16년 동안 수천 건의 분쟁을 다뤄왔고,
그 과정에서 수많은 소비자분들이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하는 현실을 보았습니다.

 

하지만 단 한 번의 꼼꼼한 검토로
억울하게 줄었던 보험금을 바로잡는 경우도 많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신경내분비종양 C20 암진단비와 관련된 문제로 고민 중이시라면,
혼자서 싸우지 마세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결국 가장 빠르고, 가장 정확한 해결책입니다.

 

 


 

 

보험소비자의 권익은 포기할 수 없습니다.


저 김지윤 손해사정사가 끝까지 여러분의 권리를 지켜드리겠습니다.

 


 

아래 관련 블로그 내용도 참고해주세요.

(사진을 누르면 이동됩니다.)

 

 

1bosang-_-신경내분비종양-C20-암진단비-001.jpg

 

 

#신경내분비종양 #C20암진단비 #암진단비거절 #직장암보험금 #유암종 #카르시노이드종양 #신경내분비암 #NET암보험 #암보험청구 #암보험분쟁 #보험금거절 #보험사거절대응 #암진단비청구 #손해사정사 #김지윤손해사정사 #메디컬손해사정 #보험전문가 #보험상담 #보험금재청구 #보험사자문 #의료자문거절 #보험분쟁해결 #보험소비자권리 #보험사조사대응 #암보험유의사항 #보험금받는방법 #직장NET #암보험지급기준 #보험전문손해사정 #보험금청구방법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공지 2025년 상반기 도시일용근로자임금 (자동차보험, 법원) 일용노임, 도시일용임금 - 손해배상, 교통사고 무직자 주부 등 적용 - 2025.01.07 5128
공지 2023년 중반기 도시일용근로자임금 (자동차보험) 2023.07.19 2202
공지 2023년 상반기 도시일용근로자임금 (자동차보험, 법원) 일용노임, 도시일용임금 2023.01.02 12016
공지 2022년 상반기 도시일용근로자임금 (자동차보험, 법원) 2022.01.01 12065
공지 2020년 하반기 도시일용근로자임금 (법원, 자동차보험) 2020.09.01 2172
공지 2020년 중반기 도시일용노임 (7월1일~8월31일) 2020.07.13 1589
공지 2020년 상반기 일용임금 (법원, 자동차보험약관) 2020.04.02 1396
공지 2019년 하반기 적용 일용임금 2019.09.26 1747
공지 육체노동 가동연한 기존 60세에서 65세로 상향(정년상향) 2019.06.21 914
57 십자인대파열 후유장해보상 받는방법 손해사정사 상담받아보세요. file 2025.10.08 8
56 안구손상 시력저하 후유장애보험금 청구방법 손해사정사 상담 장애진단서 발급방법 file 2025.10.08 6
55 산재종결이후 근재보험 청구방법 16년경력 손해사정사가 설명드립니다. file 2025.10.07 9
» 신경내분비종양 c20 암진단비 거절 해결방법 카시노이드종양 D375코드는 경계성종양인가 file 2025.10.07 9
53 보험회사 의료자문 동의서 거부하는법 의료판정거절 및 동시감정요청 file 2025.10.07 7
52 가게에서 다쳤을때 가게배상책임보험 소비자선임권 공짜로 손해사정사 선임하는 방법 file 2025.10.07 6
51 CI보험 중대한암 지급거절 정말 보험사 말이 맞을까 file 2025.10.07 11
50 흉추압박골절 후유장해 보험금 손해사정사 상담을 통해 확실하게 받으세요. file 2025.10.06 12
49 보험금 청구이후 손해사정 나올때 보험회사 현장심사 대응 방법 file 2025.10.06 10
48 C88.4 위말트림프종 고액암진단비 거절 대응방안 file 2025.10.02 19
47 매장에서 다쳤을 때 반드시 알아야 할 권리, 배상책임보험 소비자선임권 완전 정복 file 2025.10.02 228
46 보험사 현장조사 현장심사 이유는 보험금 지급거절 또는 삭감일수도 있습니다. file 2025.10.02 22
45 보험회사 의료자문 거부 이렇게 대응하세요 file 2025.10.02 18
44 대장점막내암 암진단비 질병코드 C20 D01.0 일반암과 소액암의 차이 file 2025.10.02 14
43 눈이 다쳐 잘안보일때 시력손상 후유장해 보상 꼭 챙겨야 하는 이유 file 2025.10.01 1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