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건사고TV

Video material

사건사고TV를 유투브에서 만나보세요.

↓↓보험보상금을 뺏기기 싫다면?(무료상담)↓↓

보상정보

고지의무 위반하면 보험금 못받는다고요? (567화) 계약전알릴의무 보험금분쟁

사건사고tv

 

 

 

 

고지의무 위반 보험금, 정말 못 받나요? (567화)

계약 전 알릴 의무 분쟁 완전정복

요약 한 줄: 보험 가입 시 고지의무를 위반하면 계약 해지나 보험금 부지급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다만 질환 간 인과관계가 불명확한데도 일괄 부지급되는 사례가 있어, 전문가 검토를 통해 이의 제기가 가능합니다.

567 GIF.gif

 

목차

1. 고지의무 위반 보험금 분쟁, 왜 이렇게 많을까
2. 고지의무(계약 전 알릴 의무) 정확한 정의
3. 질문표(청약서) 기준: 무엇을, 어느 기간까지 고지해야 하나
4. 고지의무 위반 시 불이익: 계약 해지·보험금 부지급 기준
5. 사례로 이해하기: 고혈압/고지혈증 → 뇌혈관질환, 유방 결절 → 유방암
6. 고지의무 위반 보험금 분쟁, 이렇게 대응하세요(6단계)
7. 제출하면 좋은 핵심 서류 리스트
8. 가입 전/후 실수 방지 체크리스트
9. 자주 묻는 질문(FAQ)
10. 마무리: 포기하지 말고 전문가 검토로 가능성부터 보세요

1.jpg

 

1) 고지의무 위반 보험금 분쟁, 왜 이렇게 많을까

건강검진·단기 투약·경과관찰 같은 “사소해 보이는 병력”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해 미고지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그러나 보험사는 인수 심사(수락/거절/할증/부담보) 판단에 병력이 핵심 지표이기 때문에, 미고지는 계약의 전제를 흔드는 사안이 됩니다. 그 결과 고지의무 위반 보험금 분쟁이 반복적으로 발생합니다.

2.jpg

 

2) 고지의무(계약 전 알릴 의무) 정확한 정의

의미: 보험계약자(피보험자)가 본인이 알고 있는 중요한 사실(주로 건강상태·과거 병력·치료 이력)을 보험사에 알려야 하는 법적 의무.


목적: 보험사가 계약 인수 여부와 조건(보험료, 부담보)을 정당하게 판단하도록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

3.jpg

 

3) 질문표(청약서) 기준: 무엇을, 어느 기간까지 고지해야 하나

다음 항목은 업계 통상 질문 예시로, 실제 질문표 문항과 유사합니다(상품·시기별 상이).
- 최근 3개월: 진료·처방·검사 여부
- 최근 1년: 추가검사·재검사 여부
- 최근 5년: 수술 여부
- 치료 기간 기준: 7일 이상 치료, 30일 이상 투약 경험
- 최근 5년: 11대/12대 중대질병 진단 여부
위 사실은 단 1회라도 해당하면 질문표 요구 범위 내에서 정확히 기재해야 합니다. ‘기억이 안 난다’는 사정은 면책 사유가 되지 않습니다.

4.jpg

 

4) 고지의무 위반 시 불이익: 계약 해지·보험금 부지급 기준

- 계약 해지: 보험사는 고지 위반 사실을 안 날로부터 1개월, 계약 체결일로부터 3년 이내에 해지할 수 있습니다(약관 확인 필수).
- 보험금 부지급: 미고지한 사실과 청구 질환 사이에 인과관계가 인정되면 보험금이 지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보험료 환급 불가: 고지의무 위반 해지 시, 납입 보험료를 돌려받지 못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핵심: ‘인과관계’가 쟁점입니다. 단순 과거 병력만으로 일괄 부지급 되는 것은 아니며, 객관적 검토가 필요합니다.

5.jpg

 

5) 사례로 이해하기: 대표 분쟁 포인트

사례 A: 고혈압/고지혈증 → 뇌혈관질환
상황: 건강검진에서 고혈압·고지혈증 진단, 두세 달 약 복용 후 중단, 가입 시 미고지. 가입 후 뇌경색·뇌출혈 진단 시 인과관계 인정되면 보험금 부지급 및 계약 해지 가능.

사례 B: 유방 결절 경과관찰 → 유방암
상황: 가입 전 유방 결절로 경과관찰 중, 가입 시 미고지. 가입 후 유방암 진단 시 결절↔암의 연속성·인과관계 판단에 따라 부지급 또는 해지 가능.

6.jpg

 

6) 고지의무 위반 보험금 분쟁, 이렇게 대응하세요 (6단계)

1. 통보문 확보: 보험사의 부지급/해지 통보문 원본 확보(근거 조항 표시)
2. 질문표·약관 대조: 가입 당시 기재 내용과 약관 고지 항목·기간 대조
3. 의무기록 수집: 검진표, 진단서, 처방전, 검사결과 등 일자별 정리
4. 인과관계 쟁점 도출: 미고지 사실과 청구 질환의 의학적 연계성 분리·정리
5. 전문가 검토: 손해사정사에게 사실관계·의무기록·약관 종합 검토 의뢰
6. 이의제기/분쟁조정·소송 안내: 무리한 결정이면 이의신청·분쟁조정·소송 등 최적 경로 선택

7.jpg

 

7) 제출하면 좋은 핵심 서류 리스트

- 보험사 통보문(부지급/해지 사유, 약관·조항 인용 포함)
- 청약서/질문표 사본(가입 당시 기재 내용 확인)
- 보험약관·상품설명서(해당 조항 근거)
- 의무기록(검진표, 진단서, 소견서, 처방전, 수술기록, 검사결과)
- 건강검진 이력(기관·일자·수치 정리)
- 투약 이력(기간·약명·용량)
- 경과관찰 기록(재검 권유, 추적관찰 일정 등)

8.jpg

 

8) 가입 전/후 실수 방지 체크리스트

[ ] 질문표의 기간 기준(3개월/1년/5년/7일/30일)을 정확히 이해했다
[ ] 경미한 진료라도 질문 범주에 들면 “예”로 표기 후 설명란에 기재했다
[ ] 경과관찰/재검 권유도 사실대로 기록했다
[ ] 과거 단기 투약도 기간·약명까지 확인했다
[ ] 가입 후 변경사항(새 진단·검사·수술)은 약관 통지 의무 여부를 점검했다
[ ] 가족력·직업 위험 등 추가 질문 항목을 누락하지 않았다
[ ] 기록이 애매하면 증빙 확보 후 기재했다

9.jpg

 

9) 자주 묻는 질문(FAQ)

Q1. ‘기억이 안 난다’고 하면 면책이 되나요?
A. 아닙니다. 질문표에 해당하면 알려야 할 의무가 있고, 기억상실은 면책 사유가 되지 않습니다.

Q2. 고지의무 위반이면 무조건 보험금이 거절되나요?
A. 아닙니다. 미고지 사실과 청구 질환 사이에 의학적 인과관계가 인정되어야 합니다.

Q3. 계약 해지 가능한 기간은?
A. 통상 약관에 ‘안 날로부터 1개월, 계약일부터 3년 이내’로 규정됩니다(상품별 확인 필요).

Q4. 고지하면 가입이 불가할까 걱정됩니다.
A. 고지는 법적 의무입니다. 불이익 우려로 미고지하면 더 큰 위험(해지·부지급)에 노출됩니다.

Q5. 이미 부지급 통보를 받았습니다. 뒤집을 수 있나요?
A. 가능성이 있습니다. 인과관계가 불명확하거나 절차·근거가 미흡한 결정은 이의제기/분쟁조정을 통해 다툴 수 있습니다.

썸네일 수정후.png

 

10) 마무리: 포기하지 말고 “가능성”부터 확인하세요

고지의무 위반 보험금 문제는 질환 간 인과관계와 약관·사실관계가 복합적으로 얽혀 있습니다. 보험사의 판단이 항상 정답은 아닙니다. 부지급/해지 통보를 받으셨다면, 관련 서류를 모아 손해사정사에게 검토를 의뢰하세요. 작은 누락이 큰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지금 점검이 최선의 예방입니다.

 

문의: 

■ 무료 전화상담 : 010-7794-0777, 1668-4572(전국대표번호)

 

■ 카카오톡 빠른상담(무료) : https://open.kakao.com/me/sagunsagoTV

 

■ 카카오톡 무료채팅상담 : https://pf.kakao.com/_iJixcj/chat

 

■ 무료상담 신청양식 : https://forms.gle/DRXTrggKQPk5C7xPA

 

■ 홈페이지 문의  http://sagunsago.com

 

□ 궁금하신 점은 위 연락처로 문의부탁드립니다. □ 

 

#보험 #고지의무 #계약전알릴의무 #보험금분쟁 #보험계약해지 #보험금부지급 #손해사정사 #보험청구 #보험분쟁 #사건사고TV #보험상담 #보험소송 #보험사기예방 #보험가입주의사항 #보험금청구방법 #보험약관 #보험해지 #보험금지급 #보험사분쟁 #보험전문가

 

 

위로